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떨어진 사과? 요즘 사과를 자주 하는 두 후보가 보이네요. <br><br>네. 그런데 그 '효과'는 점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보통 수습하려고 사과를 하는데, 그게 잘 안 되는 거 같죠? <br><br>네. 이재명 후보는 장남의 상습도박, 윤석열 후보는 부인의 허위 경력 논란에 사과했지만 오히려 이후 비판은 더 거세졌습니다. <br><br>[장순칠 / 국민의힘 선대위 상근부대변인]<br>"철 지난 '신파조 연기'에 몰두하고 있습니다. 이어진 이재명 후보의 발언을 보면 아들 문제를 '눈물 바람 쇼'로 덮겠다는 의도가 명확히 보입니다." <br> <br>[권인숙 / 더불어민주당 의원]<br>"마지못해 사과했습니다. 진정성을 찾아보기는 어려웠지만 말이죠. 사과 이후 물타기를 시도하면서 본질을 호도하고 있습니다."<br><br>Q. 양쪽 모두 진정성이 없는 사과라는 지적이군요. 사과의 효과가 떨어진 이유가 뭡니까? <br><br>사과가 개운치 않은 이유, 이 부분이 아닐지 저희가 모아봤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<br>"자식 가진 게 또 부모 죄라고 하니까 다 책임져야 하고 또 국민들께 죄송하기도 하고 그렇죠. (아들을) 붙잡고 울었죠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<br>"아니 본인(아들)도 못 지우는 건데 이게 도대체 왜 알게 되었을까 이런 생각이 들긴 한데…"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후보(지난 17일)]<br>"제 아내와 관련된 논란으로 국민 여러분에게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." <br>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후보 (그제)]<br>"사과를 올렸습니다마는 또 민주당 주장이 사실과 다른 그런 가짜도 많지 않습니까?" <br><br>Q. 사과는 사과인데, 상대 공격도 잊지 않네요. <br><br>네. 이 후보는 아들 의혹을 제기한 쪽 뒤에 기획이 있다는 의구심을 보였고 윤 후보 역시 민주당의 가짜뉴스 탓을 덧붙였는데요. <br> <br>숨기지 못한 본심 때문에 사과가 빛이 바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죠. "오지랖" 박범계 법무부 장관 얘기군요. <br><br>네. 앞서 김진국 대통령 민정수석이 "아버지가 민정수석"이라고 쓴 아들의 입사 지원서 논란으로 물러났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. <br> <br>박 장관은 SNS에 오히려 "김 수석이 투명하다 확신한다"며 편을 들었습니다. <br><br>Q. 의아하더라고요. 어디가 투명하다는 건지, <br><br>그러잖아도 불공정이 대선의 화두인데, 화들짝 놀란 민주당 내에서도 비판 목소리가 나왔는데요. <br> <br>조응천 의원은 "법무장관이 오지랖 넓게 방어에 나섰다"며 자제를 촉구했습니다. <br><br>Q. 저희도 지적했지만, 오히려 법무부 장관이라면 현 정부 내내 공석인 청와대 특별감찰관부터 챙겨야 하지 않을까요. <br><br>대통령 측근 및 수석 비서관의 비리를 감시하는 특별감찰관제가 유명무실해졌죠. <br> <br>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특별감찰관 법은 8년 전 당시 야당 의원이던 박 장관이 대표 발의한 겁니다. <br> <br>[박범계 / 당시 민주통합당 의원 (2013년)]<br>"대통령 측근 및 고위공직자의 비리를 감시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. 특별감찰관은 인사 관련 등 청탁을 받는 행위 등 권력형 비리, 부패범죄를 저지르는지 여부를 상시적으로 감찰하게 됩니다." <br><br>박 장관이 먼저 챙겨야 할 게 무엇인지 돌아보면 좋겠습니다. <br> <br>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'말로만 그만', 여야 모두 말로는 그만하자면서도 끊지 못하는 게 있죠. <br><br>맞습니다. 네거티브죠.<br> <br>후보들도, 선대위원장도 그만하자고 주장은 합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 <br>"검증의 이름으로 실질적으로 네거티브 전면전 이뤄지고 있는데 저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 (어제)] <br>"더 이상 네거티브 전쟁은 좀 그만했으면 하는 그런 당부의 말씀을 드린다."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 (어제)] <br>(Q. 김종인 위원장께서 여야 후보 간 네거티브 공방 그만하자 이런 제안하셨는데?) "이제 앞으로 그렇게 가야 되겠죠." <br><br><br><br>민주당 선대위 선거 전략보고서에는 이재명 후보가 정책과 포지티브를 지향하며 적절한 시점에 네거티브 종식을 선언한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기도 합니다.<br> <br>Q. 그런데, 현실은 전혀 다른 것 같은데요. <br><br>오늘도 양쪽 모두 네거티브 전이 치열했습니다. <br><br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(김건희 씨) 가짜경력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에서도 쉴드 칠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. 공정에 대한 높아진 국민의 요구 또 언론의 검증, 이것을 네거티브라고 보면 안 될 것입니다." <br><br>국민의힘은 과거 이 후보에게 뇌물을 전달했다는 내용을 담은 편지를 공개했고요. <br><br><br><br>이 후보 아들의 직장과 예금 상황 등을 들어 알고보니 특권층 자녀였다고 비꼬았습니다.<br> <br>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어 정책선거를 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잖아요. <br> <br>그래서일까요. <br> <br><br><br>아니면 말고 식, 손쉽게 던져 상대방 지지율을 깎아내릴 수 있는 네거티브 유혹의 덫에서 쉽게 나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.(유혹의덫) <br><br>Q. 안에서는 네거티브가 달콤해보일지 몰라도, 밖에선 제 살 깎아먹기로 보이기도 합니다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박소연 디자이너